시니어 크리에이터 시대의 서막: 바퀴를 재발명하지 말고, 새롭게 굴려라

시니어 크리에이터가 새로운 콘텐츠 시장의 주역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박막례 할머니부터 더뉴그레이의 성공 사례까지, 기존 비즈니스 모델을 재해석한 시니어 크리에이터 시장의 성장과 가능성을 분석합니다.
Oct 26, 2024
시니어 크리에이터 시대의 서막: 바퀴를 재발명하지 말고, 새롭게 굴려라

흥미로운 변화가 시작되고 있다

"Don't reinvent the wheel" - 바퀴를 재발명하지 말라.

기존 도구들을 창의적으로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 구축 가능성과 기술에 익숙하지 않은 크리에이터들을 위한 서비스 제공 기회에 대한 글쓴이의 생각을 읽을 수 있는 글인 You Could Replicate These Businesses 를 여는 문장입니다.

하지만 역설적이게도, 이 문장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견하는 단서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시니어 세대가 유튜버가 된다면 어떨까요? 불과 5년 전만 해도 터무니없어 보였던 이 상상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50-69세의 60% 이상이 주 4일 이상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합니다. 더 놀라운 건 유튜브 앱 일간 사용 시간이 2030세대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겁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이 있습니다.

시니어들은 이미 콘텐츠를 만들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부족한 건 단 하나, 디지털 도구를 다루는 방법뿐입니다.

바로 이 지점이 새로운 기회가 됩니다.

기존의 크리에이터 에이전시 모델을 시니어에 맞게 재해석하면 어떨까요? 바퀴를 재발명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지 시니어들이 그 바퀴를 더 잘 굴릴 수 있도록 도와주면 됩니다.

이제 시니어 크리에이터 시대가 시작됩니다. 그들의 이야기를, 그들의 방식으로, 그들의 속도에 맞춰 단순한 콘텐츠 소비자에서 → 적극적인 생산자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 시니어 크리에이터 시대의 서막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숫자로 보는 시니어 크리에이터의 성장

박막례 할머니 Korea_Grandma 유튜브

시니어 크리에이터들의 성과를 살펴보면 놀랍습니다.

  • 박막례 할머니: 121만 구독자

  • 밀라논나: 90.7만 구독자

  • 내편TV: 56.9만 구독자

  • 씨알의 꿈: 2년 만에 10.7만 구독자

이런 숫자가 의미하는 건 뭘까요?

단순히 구독자 수가 아닙니다. 시니어 크리에이터들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가능성입니다.

박막례 할머니 Korea_Grandma 유튜브

왜 시니어 크리에이터가 성공할 수 있었나

성공한 시니어 크리에이터들의 특징을 분석해보면 세 가지 공통점이 보입니다.

1) 전문성의 재발견

  • 국회 공무원 출신 '내편TV'의 정치 콘텐츠

  • 30년 경력 요리사의 레시피 채널

  • 은퇴 교사의 교육 콘텐츠

→ 평생 쌓아온 전문성이 콘텐츠의 깊이가 됩니다.

2) 진정성의 힘

  • 꾸미지 않은 자연스러운 모습

  • 실수도 당당히 인정하는 태도

  • 배우려는 자세

→ 이런 진정성이 세대를 초월한 공감을 만듭니다.

3) 지속적인 도전

  • 새로운 트렌드 습득

  • 젊은 세대와의 협업

  • 끊임없는 학습

→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는 걸 보여줍니다.

시니어 크리에이터 에이전시, 더뉴그레이가 보여준 가능성

더뉴그레이 홈페이지

주목할 만한 변화를 63세 아이돌 그룹을 매니지먼트합니다(더뉴그레이 권정현 대표)의 인터뷰를 통해서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체면 때문에 시니어들이 거부부터 하세요. '내가 뭘 이런 걸 해', '나이 먹고 무슨 짓이야' 하시죠."

더뉴그레이의 권정현 대표는 이렇게 회상합니다. 하지만 3년 동안 700명이 넘는 시니어들을 만나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더뉴그레이의 성과를 보면:

  • 인스타그램 팔로워 40만 명

  • '우리 아빠 프사 바꾸기 대작전' 바이럴 성공

  • 시니어 크리에이터 그룹 '아저씨즈' 운영

어떻게 이런 변화가 가능했을까요?

1) CCC 전략

  • Consulting: 시니어 인플루언서 아카데미 운영

  • Contents: 금융, 자동차, 가구 등 브랜드 캠페인

  • Commerce: 시니어 전용 상품 개발

2) 세대 간 소통의 재발견

  • 평균 나이 63세의 크리에이터들

  • 30대 초반의 젊은 리더

  • 공통의 목표: "the new grey"

3) 인내의 비즈니스 모델

"시니어 사업은 효도선물로 시작해서 성공사례를 보고 시도해보고, 그 후에 자발적인 소비가 일어나는 흐름을 가집니다."

더뉴그레이가 주목받는 이유는 하나입니다. 시니어를 '소비자'가 아닌 '생산자'로 보는 관점.

"시니어분들이 돈을 쓰기만 하는 게 아니라 벌기도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세상이 많이 바뀔 것 같아요."

결론: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

시니어 크리에이터의 부상은 단순한 트렌드가 아닙니다.

이는 우리 사회의 세 가지 큰 변화를 보여줍니다:

  1. 액티브 시니어의 등장

  2. 세대 간 소통 방식의 변화

  3. 새로운 실버 비즈니스의 탄생

우리는 지금 새로운 시대의 시작점에 서 있습니다.

시니어들이 만들어갈 새로운 이야기와 시니어 크리에이터 에이전시의 성장을 기대하게 됩니다.

Share article

More articles

See more posts

rebootstud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