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브레인스토밍의 새로운 발견: prompt warrior의 5가지 프레임워크

Prompt warrior가 제안한 5가지 AI 브레인스토밍 프레임워크로 아이디어 발상의 한계를 극복하세요. 실제 사용 가능한 한글 프롬프트 포함.
Nov 04, 2024
AI 브레인스토밍의 새로운 발견: prompt warrior의 5가지 프레임워크

1인 기업가로서 AI와 함께 브레인스토밍하는 방법을 고민하던 중, 프롬프트 워리어(The Prompt Warrior)의 "Use AI to brainstorm better and faster" 아티클을 발견했어요. 거기서 소개된 5가지 프레임워크가 제 브레인스토밍 방식을 한 단계 발전할 수 있도록 해주었습니다. 이 발견을 여러분과 나누고 싶어요! 🎯

왜 AI 브레인스토밍 프레임워크가 필요했나요? 💡

솔직히 말씀드리면, 처음에는 그냥 "AI야, 아이디어 좀 줘"라고 하면 될 거라 생각했어요. 하지만 곧 한계에 부딪혔죠. 체계적인 접근 없이는 AI와의 대화도 금방 막힌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프롬프트 워리어가 제시한 이 다섯 가지 방법으로 AI와의 브레인스토밍을 실제로 적용해본 경험을 나눠볼게요! 😊

1. Reverse Brainstorming: 발상의 전환이 필요할 때 🔄

무엇인가요? 문제를 반대로 생각하는 접근법이에요. "어떻게 하면 성공할까?" 대신 "어떻게 하면 실패할까?"를 고민하는 거죠.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요?

  • 제품이나 서비스의 약점을 찾고 싶을 때

  •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고 싶을 때

  • 위험 요소를 미리 파악하고 싶을 때

프롬프트: "역발상 브레인스토밍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다음 주제에 대해 브레인스토밍 해주세요: [주제]

예를 들어,

- 우리 제품/서비스를 망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 고객들이 절대 선택하지 않을 방법은 무엇일까요?

- 최악의 시나리오는 무엇일까요?"

AI 브레인스토밍
claude

2. Six Thinking Hats: 모든 각도에서 바라보기 🎩

무엇인가요? 여섯 가지 다른 관점(사실, 감정, 비판, 긍정, 창의, 조직)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방법이에요.

어떤 관점들이 있나요?

  • 흰색 모자: 객관적 사실과 정보

  • 빨간색 모자: 직감과 감정

  • 검은색 모자: 위험과 문제점

  • 노란색 모자: 장점과 기회

  • 초록색 모자: 새로운 아이디어

  • 파란색 모자: 과정 관리

프롬프트: "6색 사고모자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다음 주제를 분석해주세요: [주제]

각 관점별로 분석해주세요:

1. 흰색 모자: 객관적 사실과 데이터

2. 빨간색 모자: 직관적 감정과 느낌

3. 검은색 모자: 잠재적 위험과 문제점

4. 노란색 모자: 긍정적 기회와 장점

5. 초록색 모자: 창의적인 대안과 가능성

6. 파란색 모자: 전체적인 진행 방향"

AI 브레인스토밍
claude

3. SCAMPER: 체계적으로 아이디어 발전시키기 📈

무엇인가요? 기존의 것을 체계적으로 변형하고 발전시키는 7단계 방법론이에요.

각 단계는 이렇습니다:

  • S (Substitute): 다른 것으로 대체하기

  • C (Combine): 다른 것과 결합하기

  • A (Adapt): 용도에 맞게 조정하기

  • M (Modify): 형태나 속성 변경하기

  • P (Put to another use): 다른 용도로 활용하기

  • E (Eliminate): 불필요한 요소 제거하기

  • R (Reverse): 순서나 관계 뒤집기

프롬프트: "SCAMPER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다음 주제에 대해 아이디어를 발전시켜주세요: [주제]

각 단계별로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해주세요:

- 대체하기(S): 어떤 요소를 다른 것으로 바꿀 수 있을까요?

- 결합하기(C): 어떤 요소들을 합칠 수 있을까요?

- 응용하기(A): 다른 분야의 아이디어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까요?

- 수정/확대/축소(M): 어떻게 변형할 수 있을까요?

- 다른 용도(P): 어떤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 제거하기(E): 어떤 요소를 제거할 수 있을까요?

- 재배열(R): 어떻게 순서나 구조를 바꿀 수 있을까요?"

AI 브레인스토밍
claude

4. First Principle Thinking: 본질로 돌아가기 🎯

무엇인가요? 복잡한 문제를 가장 기본적인 진리나 사실로 분해해서 생각하는 방법이에요.

언제 효과적일까요?

  • 혁신적인 해결책이 필요할 때

  • 기존 방식의 한계를 느낄 때

  •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고 싶을 때

프롬프트: "근본적 사고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다음 주제를 분석해주세요: [주제]

다음 단계로 분석해주세요:

1. 이 문제/상황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요?

2. 우리가 확실히 알고 있는 사실은 무엇인가요?

3. 이 요소들을 어떻게 새롭게 조합할 수 있을까요?

4. 기존의 가정들 중 꼭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AI 브레인스토밍
claude

5. Second Order Thinking: 한 발 더 나아가기 🔮

무엇인가요? 직접적인 결과를 넘어, 그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연쇄적인 영향까지 고려하는 사고방식이에요.

왜 중요할까요?

  • 장기적 영향력 파악 가능

  • 예상치 못한 문제 예방

  • 더 나은 의사결정 가능

프롬프트: "이차적 사고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다음 주제를 분석해주세요: [주제]

다음 관점으로 분석해주세요:

1. 즉각적인 결과는 무엇일까요?

2. 그 결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추가적인 영향은 무엇일까요?

3. 6개월/1년/3년 후에는 어떤 변화가 있을까요?

4.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나 기회는 무엇이 있을까요?"

AI 브레인스토밍
claude

마치며: AI와 함께하는 브레인스토밍의 즐거움 ✨

처음에는 AI와의 브레인스토밍이 어색했지만, 이제는 없어서는 안 될 파트너가 되었네요. 각 프레임워크마다 고유한 특징과 장점이 있어서,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해 사용하면 놀라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답니다.

제가 그랬듯 여러분의 브레인스토밍에도 이 프레임워크들이 큰 도움이 되길 바라며... 😊

Share article

rebootstudio